고려 사항

코인의 종류

코인 발행시 개별 코인의 특성에 맞게 ERC 표준을 적용해서 개발한다.

ERC 표준 내용
ERC-20 - 코인처럼 사용할 수 있는 토큰 표준 (Fungible Token)
- 일반적인 형태의 코인
- minting new token -> 토큰 발행
- burn: sending token to address 0x0 전체는 줄지 않고, 못쓰는 토큰이 생김
ERC-721 - 디지털 자산을 토큰화하기 위한 표준(Non Fungible Token)
- 금년에 1200만 달러를 투자받은 CryptoKitties가 한 예
ERC-621 - ERC-20 확장 버전
- 통화량 조정이 가능(increaseSupply, decreaseSupply)
- ERC-20의 경우, 한번 통화량이 확정되면 변경이 안됨
ERC-827 - ERC-20 개션 버전
- 토큰 값(value)과 데이터(data)를 함께 전달할 수 있음.
- ERC-20의 토큰 값만 전달할 수 있음.

문제점

  • 트랜잭션 발생시 이더 비용 발생

    • 블록 생성의 인센티브인 트랜잭션 비용이 발생함.

      • 트랜잭션 비용 = Gas Cost x Gas Price
      • Gas Price Std (Gwei) -> 10 (2018년 11월 현재)

      • Std Cost for Transfer -> $0.025 (2018년 11월 현재)

      • 29원 정도

메인넷 개발과 이더리엄 기반 코인 발행 비교

  • 메인넷 개발 관련해서는 'Hard fork'로 구글링하면 많은 자료가 나옴.

results matching ""

    No results matching ""